
퍼포먼스 마케터를 위한 트렌드 분석 가이드 (Ft. 빅카인즈, 썸트렌드, 블랙키위)
급변하는 디지털 마케팅 환경에서 광고를 집행하는 것을 넘어, 트렌드를 읽어내는 능력은 퍼포먼스 마케터의 핵심 역량으로 자리잡았는데요. 그럼 이러한 트렌드는 대체 어디서 어떻게 알아내는 걸까요?
🧭 트렌드, 퍼포먼스 마케팅의 나침반
트렌드의 사전적 정의는 특정 시점에 소비자 행동, 관심사, 기술, 문화 등에서 나타나는 변화의 흐름입니다. 이는 단순한 유행을 넘어 시장 동향과 소비자 심리를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퍼포먼스 마케팅은 데이터에 기반해 실시간으로 성과를 측정하고 최적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에, 트렌드에 대한 깊은 이해는 필수적입니다.
트렌드를 선제적으로 파악하면 소비자의 잠재적 니즈와 관심사를 미리 인지해 개인화된 메시지와 캠페인을 기획할 수 있습니다. 또한 트렌드를 반영한 광고 소재와 콘텐츠는 소비자의 공감과 참여를 높여 클릭률(CTR)과 전환율(CVR) 상승으로 이어지며, 캠페인 효율을 극대화합니다. 무엇보다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에서 트렌드를 먼저 포착하고 적용하는 기업은 경쟁사보다 한 발 앞서 나갈 수 있는 기회를 확보하게 됩니다.
트렌드 서치 및 분석 과정은 크게 모니터링과 검증 두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이 두 과정은 서로 보완하며, 정확한 트렌드 파악과 전략적 활용을 위해 반드시 병행 해야 합니다.
🔎 모니터링: 최신 트렌드의 포착
트렌드 포착의 첫 단계는 다양한 채널을 통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입니다.
- 뉴스레터
관련 산업의 전문 정보를 제공하는 뉴스레터는 변화의 흐름을 확인하기에 훌륭한 출처입니다. 특히, 정기적으로 심층 분석과 트렌드 요약을 제공해 바쁜 실무자도 효율적으로 최신 정보를 습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오픈애즈와 마케띵킹 같은 디지털 마케팅 전문 뉴스레터는 업계 동향과 성공 사례를 심층적으로 다루어 퍼포먼스 마케터가 시장의 큰 흐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거시적인 시장 동향과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소셜 미디어
소셜 미디어 역시 실시간으로 소비자 반응과 바이럴 트렌드를 포착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다만, 타겟 오디언스에 따라 활용하는 플랫폼이 다르다는 점을 명확히 이해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20대가 가장 자주 사용하는 SNS 앱은 인스타그램인 반면 50대 이상은 네이버 밴드나 카페 같은 국내 포털 기반 매체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연령대 뿐만 아니라 국가별로도 차이를 발견할 수 있는데요, 구글이 차단된 중국 시장에서는 샤오홍슈(RED)와 웨이보가 핵심 플랫폼으로 유행을 선도합니다.
표적시장의 점유률이 높은 플랫폼의 특성에 맞춰 인기 해시태그, 바이럴 콘텐츠, 챌린지 등을 모니터링하면 어떤 콘텐츠가 반응을 얻고 있는지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뉴스레터와 소셜 미디어는 서로 보완적인 역할을 하며, 퍼포먼스 마케터가 시장과 소비자의 변화를 폭넓고 신속하게 포착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트렌드 검증: 데이터로 확인하는 타당성
모니터링을 통해 잠재적 트렌드를 포착했다면, 다음은 데이터 기반 검증을 통해 해당 트렌드의 타당성과 영향력을 확인하는 단계입니다. 이 때 활용되는 대표적인 툴로 빅카인즈, 썸트렌드, 블랙키위가 있으며 공통적으로 ‘언급량’과 ‘연관어’ 분석 기능을 제공합니다.
아울러, 각 툴은 데이터의 분석 범위에 따라 고유한 강점과 차별점을 지니고 있어 분석 목적에 맞춰 적합한 도구를 선택하는 기준이 달라집니다.
- 빅카인즈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제공하는 뉴스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인만큼 국내 주요 뉴스 기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회적 이슈와 거시적 트렌드를 분석하는데 강점이 있습니다. 뉴스 내 인물·기관·장소 등 개체명 간의 관계도, 이슈 클러스터링, 뉴스 히스토리 등 뉴스 데이터 특유의 심층적 분석이 가능합니다. 사회적 담론, 정책 변화, 기업 이슈 등 뉴스 기반의 거시 트렌드나 사회적 여론을 파악하고자 할 때 가장 효과적인 툴입니다.
- 썸트렌드
국내 소셜 미디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시간 트렌드와 소비자 반응을 파악하는 데 특화되어 있습니다. 다양한 채널의 언급량과 연관어를 시각적으로 보여줄 뿐만 아니라, 긍정·부정·중립 감성 분포를 파악할 수 있어 소비자 반응과 여론의 온도를 측정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특히, 바이럴 이슈나 MZ세대 중심의 소셜 트렌드를 빠르게 확인하고 싶은 경우에 효과적입니다.
- 블랙키위
네이버 검색 데이터를 중심으로 분석이 이뤄지기 때문에 네이버 기반의 SEO 전략이나 마케팅 기획에 유리합니다. 블로그·카페 등 네이버 내에서 해당 키워드로 생성된 월간 콘텐츠 발행량과 포화 지수까지 함께 보여줌으로써 특정 키워드가 네이버 생태계에서 얼마나 경쟁이 치열한지, 신규 콘텐츠가 상위 노출될 가능성이 얼마나 되는지까지 진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툴별 특징이 분명하게 구분되는 만큼, 퍼포먼스 마케터는 분석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도구를 선택해 조합하여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마무리하며
트렌드 서치 및 분석은 퍼포먼스 마케팅의 단순한 부가 활동이 아니라, 전략 수립과 실행의 핵심 과정입니다. 제안서 작성 시 트렌드 조사를 통해 타겟 전략과 캠페인 방향성을 명확히 하고, 캠페인 운영 시에도 쿼리량과 트래픽 모니터링을 통해 트렌드 변화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광고 소재와 메시지에 적극 반영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에서 퍼포먼스 마케터는 데이터 분석 역량과 더불어 트렌드를 읽는 통찰력을 갖춰야 시장을 선도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